조선왕복 메디활극 - 명불허전 (tvN) 방영 기간 : 2017년 8월 12일 ~ 10월 1일 (16부작) 시청률 : 6.9% 등장인물 허임 - 김남길 최연경 - 김아중 유재하 - 유민규 동막개 - 문가영 최천술 - 윤주상 허준 - 엄효섭 신명훈 - 안석환 황교수 - 이대연 두칠 - 오대환 민병기 - 태항호 김민재 - 김성주 전재숙 - 민지아 마성태 - 김명곤 진영훈 - 이재균 유진오 - 유민규 연이 - 신린아 딱새 - 최재섭 사야가 - 다케다 히로미츠 오하라 - 노정의 강만수 - 이재원 정이연 - 서정연
이석증은 내이에 있는 평형기관 중 주머니처럼 생긴 ‘난형낭’에 붙어 있던 이석이 떨어져 세반고리관으로 들어가 어지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자세를 바꿀 때 주변이나 본인이 도는 느낌, 몸이 땅으로 꺼지는 느낌과 구역, 구토 증상이다. 또한 이석증은 대부분 특별한 원인 없이 생긴다.
이석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나이가 들면서 작고 약해지므로 고령일수록, 여성에서 남성이 보다 많이 생기는 경향이 있다.
골다공증이 있거나 비타민D가 부족해도 더 잘 생긴다. 또 머리를 다친 적이 있거나 전정신경염·메니에르병 등 내이 질환이 있었던 경우에도 이석증이 잘 생길 수 있다.
최근 대한평형의학회가 주관한 다기관 연구에 따르면, 전체 이석증 환자의 약 15%가 두부외상이나 내이질환이 있었던 경우 이차적으로 이석증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석증은 ‘체위성 안진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특정 자세에서만 안구가 일정한 방향으로 떨리는 체위성 안진의 방향을 통해 어떤 세반고리관으로 이석이 들어갔는지 파악할 수 있다. 드물지만 소뇌에 뇌졸중이 생기는 경우 초기 증상이 이석증과 비슷할 수 있으므로 소뇌 기능 이상이 나타날 수 있는 다른 소견이 없는지 반드시 진찰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이석증 치료는 특정 자세를 취하게 해서 자리를 이탈한 이석을 원래 자리로 돌려놓는 ‘이석정복술’로 이루어진다. 이석이 어떤 세반고리관으로 들어갔는지 정확히 확인한 후 이석정복술을 시행하면 대부분 쉽게 치료가 된다.
이석정복술 이후에도 어지럼이 남아 있다면 약물 치료를 짧은 기간 병행하기도 한다. 한편, 이석증은 1년 안에 10명 중 2명 정도가 재발하는 병이다. 이석증 재발을 예방하려면 비타민D가 부족해지지 않도록 야외 활동을 많이 하고, 필요하다면 먹는약이나 주사제로 보충하는 것이 좋다.
댓글
댓글 쓰기